ex libris

비밀의 도서관 by 올리버 티얼

LadyYvonne 2018. 3. 14. 13:39
비밀의 도서관 - 6점
올리버 티얼 지음, 정유선 옮김/생각정거장

 

- 부제: 호메로스에서 케인스까지 99권으로 읽는 3,000년 세계사

- 원제: the secret library (2016)

 

 

명저들을 쭉 훑을 수 있다... 흥미롭고 좋았다... 단 넘 많아서 다 읽고 나면 기억에 남아있질 않아;;;; 이런건 이 책에서 하나씩 차근차근 살피다가 흥미가 가는 책은 그때그때 제대로 봐줘야할듯... 천천히~

 

 

- 목차

 

머리말: 익숙하거나 낯선 책에서 발견하는 삶의 의미
들어가기 전에: 삶이 문학과는 전혀 관계없다고 생각하는 당신을 위한 간단 테스트!

Ⅰ. 고대 세계
《일리아드》 속 아킬레스는 불사신이 아니다? - 호메로스 《일리아드》
미스터리한 우화작가 이솝 - 이솝 《이솝우화》
‘레즈비언’이라는 단어의 탄생 - 사포
‘읽는 사람은 없어도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책’ 기하학원론 - 유클리드 《기하학원론》
인류 최초의 비극,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- 소포클레스 《오이디푸스 왕》
인생은 희극, 비극, 그리고 외설스런 사티로스극 - 에우리피데스 《퀴클롭스》
로마의 위대한 개츠비 - 페트로니우스 《사티리콘》
공상과학 소설의 시초 - 루시안 《진실한 역사》
‘대사전’을 쓴 학자 플리니, 폼페이의 화산 폭발로 사라지다 - 플리니 《박물지》
가장 오래된 유머집 - 히에로클레스, 필라고리우스 《필로겔로스》

Ⅱ. 중세시대
가장 영국다운 작품을 찾아서 - 작자 미상 《베오울프》
마법사 멀린의 화려한 등장 - 몬머스의 제프리 《브리튼 왕 열전》
마르코 폴로 이전의 여행책 - 마르코 폴로 《동방견문록》
단테와 방귀 뀌는 악마 - 단테 알리기에리 《신곡》
초서, 아들을 위해 대중과학서를 쓰다 - 제프리 초서 《아스트롤라베에 관한 소고》
‘카레’를 만든 중세의 요리책 - 작자 미상 《요리의 형태》
보통 사람을 위한 힐링 메시지 - 노리치의 줄리안 《하느님 사랑의 계시》
평범한 일생이 담긴 최초의 자서전 - 마저리 켐프 《마저리 켐프 서》
정의로운 무법자, 로빈 후드의 출연 - 작자 미상 《로빈 후드 이야기》

Ⅲ. 르네상스시대
‘거대한’이라는 단어의 탄생 - 프랑수아 라블레 《가르강튀아, 팡타그뤼엘》
프랑스의 《데카메론》 - 마르그리트 드나바르 《엡타메론》
유토피아는 정말 완벽한 세계일까 - 토머스 모어 《유토피아》
완벽하게 르네상스의 신사가 되는 법 - 토머스 엘리엇 《통치자론》
르네상스시대 베스트셀러 -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《어린이의 정중함에 관하여》
그녀가 희곡을 번역한 이유 - 조애나 럼리 《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》
영어로 쓰인 최초의 소네트 - 앤 로크 《참회하는 죄인의 명상》
인쇄업자의 경고, 고양이를 조심해 - 윌리엄 볼드윈 《고양이를 조심해》
《햄릿》은 누구의 작품일까 - 토머스 키드 《원전 햄릿》
셰익스피어의 헌사를 받은 W. H. 씨는 누구인가? - 윌리엄 셰익스피어 《셰익스피어의 소네트》
돈키호테 이야기의 속편이 쓰인 이유 - 미겔 드 세르반테스 《돈키호테》
포크와 우산을 영국에 가져온 여행 작가 - 토머스 코리얏 《코리얏의 미완성집》

Ⅳ. 계몽주의시대
미신에 대한 온갖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- 토머스 브라운 《통속적 오류》
혼란의 시대를 기록한 또 다른 일기 - 존 이블린 《존 이블린의 일기》
뉴턴의 그늘에 가린 과학자 - 로버트 훅 《마이크로그래피아》
여성 개척자의 놀라운 세상 - 마거릿 캐번디시 《놀라운 세상》
말 타고 영국 한 바퀴! - 셀리아 파인즈 《말 타고 영국 일주》
문학은 세상에 현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- 대니얼 디포 《로빈슨 크루소》
걸리버 이야기가 성공한 까닭 - 조너선 스위프트 《걸리버 여행기》
연극 대신 소설을! - 헨리 필딩
시대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- 새뮤얼 존슨 《사전》

Ⅴ. 낭만주의시대
으스스한 고딕소설의 시작 - 호레이스 월폴 《오트란토 성》
제인 오스틴의 ‘역사’ - 제인 오스틴 《영국사》
문학으로 혁명의 시대를 이끌다 - 토머스 페인 《이성의 시대》
최초의 페미니스트는 누구인가 -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《여성의 권리 옹호》
진화론을 주장한 또 한 명의 다윈 - 이래즈머스 다윈 《식물원》
프랑켄슈타인, 근대 과학에 대한 경고? - 메리 셸리 《프랑켄슈타인》
위험하고도 매력적인 신사 뱀파이어의 탄생 - 존 윌리엄 폴리도리 《뱀파이어》

Ⅵ. 빅토리아시대
디킨스의 크리스마스 - 찰스 디킨스 《크리스마스 캐럴》
작가들은 왜 역사 속에서 사라지는가 - 조지 윌리엄 맥아더 레이놀즈 《런던의 비밀》
저녁 식사로 무엇을 먹을까? - 레이디 마리아 클러터벅 《저녁 식사로 무엇을 먹을까?》
빅토리아시대의 인터넷 - 《무엇이든 물어보세요》
다윈의 진짜 베스트셀러 - 찰스 다윈 《지렁이의 활동과 분변토의 형성》
평범한 소년의 도덕적 진화론 - 찰스 킹슬리 《물의 아이들》
앨리스의 또 다른 모델 - 루이스 캐럴 《이상한 나라의 앨리스》
최초의 탐정소설을 찾아라! - 메리 엘리자베스 브래든 《뱀의 흔적》
지옥의 문턱으로 토해버려야 할 아주 성가신 책 - 조지 엘리엇 《비평적으로 검증한 예수의 생애》
철도,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바꾸다 - 〈브래드쇼〉
스포츠 경기의 모든 것을 한 권에! - 존 위스든 《위스든 크리켓 연감》
탐정 홈즈를 만든 단 하나의 책 - 아서 이그나티우스 코난 도일 《네 개의 서명》
오스카 와일드의 ‘감히 이름 부르지 못하는 사랑’ - 오스카 와일드 《진지함의 중요성》
드라큘라보다 공포스러운 딱정벌레? - 리처드 마시 《딱정벌레》
빅토리아시대 신사의 충격적인 고백 - 월터 《나의 비밀스런 삶》

Ⅷ. 유럽 대륙
마담의 동화는 왜 기억 속에서 사라졌을까? - 마리 카트린느 르 주멜 드 바르네빌 《동화》
아웃사이더의 걸작 동화 -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《동화집》
위대한 철학자의 아주 세속적인 고백 - 장 자크 루소 《고백록》
독서의 무시무시한 위험성 - 새뮤얼 티소 《문학가와 주로 앉아 있는 사람이 흔히 걸리는 질병에 관한 에세이》
놀랍도록 기발하거나 지루한 미치광이의 작품 - 빅토르 위고 《레미제라블》
쥘 베른이 예견한 20세기의 모습은? - 쥘 베른 《20세기 파리》
끝이 좋으면 다 좋다 - 레프 톨스토이 《전쟁과 평화》
도스토옙스키가 묘사한 증오와 사랑의 불가분적 관계 - 표도르 M. 도스토옙스키 《지하생활자의 수기》
니체는 이렇게 말했다 - 프리드리히 니체 《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》
꿈과 무의식과 농담의 관계 - 지그문트 프로이트 《농담과 무의식의 관계》

Ⅶ. 미국 대륙
미국에서 최초로 시집을 출판한 시인 - 앤 브래드스트리트 《최근 미국에 나타난 열 번째 뮤즈》
괴짜 문학가, 미국 문학의 독립을 선언하다 - 티머시 덱스터 《아는 것의 곤란함》
뉴욕이란 도시를 만든 최초의 미국 작가 - 워싱턴 어빙 《뉴욕사》
공포소설 대가의 연체동물 이야기 - 에드거 앨런 포 《패류학자의 첫 번째 책》
시간이 지나서야 인정받는 것 - 허먼 멜빌 《사기꾼》
남북전쟁을 일으킨 작은 여인 - 해리엇 비처 스토 《톰 아저씨의 오두막집》
타자기가 최초로 사용된 트웨인의 회고록 - 마크 트웨인 《미시시피강의 추억》
‘진짜 소녀’를 위한 이야기 - 루이자 메이 올컷 《작은 아씨들》
수줍은 시골 여인의 혁명적인 시 - 에밀리 디킨슨
더 나은 미래를 꿈꾸고 이뤄내다 - 에드워드 벨라미 《뒤돌아보며, 2000년에 1887년을》
서부 밖으로 떠나는 여정 - 류 월리스 《벤허》

Ⅸ. 현대 사회
프루스트의 잠과 기억, 그리고 시간을 찾아서 - 마르셀 프루스트 《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》
‘의식의 흐름’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을까 - 도로시 리처드슨 《인생행로》
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3주 만에 소설을 쓴 피츠제럴드 - F. 스콧 피츠제럴드 《낙원의 이쪽》
버지니아 울프가 쓴 반려견의 일생 - 버지니아 울프 《플러시: 개의 전기》
위대한 경제학자의 ‘평화의 경제적 결과’ - 존 메이너드 케인스 《평화의 경제적 결과》
다른 목소리로 세상을 순찰하는 시 - T. S. 엘리엇 《황무지》
지도의 필요성 - 필리스 펄솔 《런던 A-Z》
A에서 Z까지 모든 단어를 한 권에 - 제임스 머리 외 《옥스퍼드 영어사전》
법정에서 온갖 욕을 하게 만든 책 - D. H. 로런스 《채털리 부인의 연인》
그 생명체는 그리지 말아주세요 - 프란츠 카프카 《변신》
로봇이라는 단어는 언제 처음 사용됐을까 - 카렐 차페크 《로봇 R. U. R. :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》
사랑하는 키티에게 - 안네 프랑크 《안네의 일기》
6,000만 명의 노예에게 바치는 소설 - 토니 모리슨 《빌러비드》
공룡 소설의 역사 - 존 브로스넌 《카르노사우르》
인쇄에서 인터넷 서핑까지 - 마셜 매클루언 《구텐베르크 은하계》
호메로스의 아마존, 현재의 아마존, 미래의 아마존 -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《유체 개념과 창조적 분석》

 

 

 

- quote

 

* 실제 연주가 아니면 음악을 아예 들을 수 없던 시대에서 이제는 같은 노래를 지겹도록 틀고 또 틀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. 엘리엇은 우리가 발전으로 인해 얻은 것도 있지만, 무언가 잃기도 했다고 말하는 것 같다. 삶의 목적, 짜릿한 전율, 심오함이 사라져버렸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