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x libris

내 생애 마지막 그림 by 나카노 교코

LadyYvonne 2016. 7. 30. 14:37
내 생애 마지막 그림 - 8점
나카노 교코 지음, 이지수 옮김/다산초당(다산북스)

 

 

꽤나 재미나게 읽었다... 이런 류는 많이 읽어서 사실 이젠 웬만함 다 아는 이야기고 식상한데 화가와 그림의 선택도 아주 좋았고 설명도 제대로다... 쳅터별로 한 화가에 관해 집중적으로 알 수 있어 좋았고 그 정점을 마지막 그림으로 설명해주어 참 유익했다...

루벤스가 참 인상적...ㅋ

 

 

- 목차


제1부 화가와 신 - 종교·신화를 그리다
회화의 지위 | 이야기의 보고, 신화화 | 종교화는 곧 기독교 회화

1 보티첼리의 〈아펠레스의 중상모략〉
- 관능을 일깨울 수 있는 자는 관능을 지울 줄도 안다

2 라파엘로의 〈그리스도의 변용〉
- 바로크를 향해 한발 앞서간 천재

3 티치아노의 〈피에타〉
- ‘행복한 화가’는 노쇠를 모른다

4 엘 그레코의 〈라오콘〉
- 너무 새로웠던 ‘그 그리스인’

5 루벤스의 〈댐이 있는 풍경〉
- ‘화가의 왕’이 다다른 세계

제2부 화가와 왕 - 궁정을 그리다
왕을 섬기다 | 시대가 요구한 궁정화가 | 격동기의 궁정화가

1 벨라스케스의 〈푸른 드레스를 입은 마르가리타 공주〉
- 운명을 비추는 리얼리즘

2 반다이크의 〈오란예 공 빌럼 2세와 영국 찰스 1세의 딸 헨리에타 메리 스튜어트 공주〉
- 실물보다 아름답게

3 고야의 〈나는 아직 배우고 있다〉
- 세속적 욕망을 추구하며 인간의 심연을 보다

4 다비드의 〈비너스와 삼미신에게 무장해제되는 마르스〉
- 영웅 없이는 그릴 수 없다

5 비제 르브룅의 〈부인의 초상〉
- 천수를 다 누린 ‘앙투아네트의 화가’

제3부 화가와 민중 - 시민사회를 그리다
풍속화에 대한 기호 | 주제로 확립되다 | 회화 감상의 시작

1 브뤼헐의 〈교수대 위의 까치〉
- 그려진 것 이상의 진실

2 페르메이르의 〈버지널 앞에 앉아 있는 여인〉
- 마지막까지 미스터리했던 화가

3 호가스의 〈호가스가의 여섯 하인〉
- 풍자화가의 속마음은 따뜻하다

4 밀레의 〈야간의 새 사냥〉
- 농민의 현실을 그린 혁신자

5 고흐의 〈까마귀 나는 밀밭〉
- 누구의 눈에도 보이지 않는 세계를 그리다

 

- quote

 

* 이를테면 사랑과 죽음이 주요 주제인 오페라를 보며 주인공들에게 좀더 자연스럽게 연기해달라고 요구해봤자 소용없는 일과 마찬가지다. 모든것을 노래로 표현하는 오페라는 굉장히 인공적인 예술이며 (중략) 다시말해 오페라는 자연스러움을 거부함으로써 성립한다.

 

* 루벤스는 작품을 제작하며 배우에게 타키투스의 역사서를 낭독하게 했다. 이와 동시에 비서에게 편지 내용을 불러주었고 손님에게 상냥하게 말을 걸거나 질문에도 답했다. 그러는 동안에도 그는 잠시도 쉬지않고 붓을 계속 놀렸다!